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내일배움카드에 대해서 소개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요즘은 자기계발 시대라고 할 수 있는데요.
여러분들은 자기계발을 어떤 식으로 하시고 있으신가요?
저의 경우에는 혼자 찾아서 하는 방법보다는 학원이나 강의를
직접 신청해서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편입니다. 이 방법의 경우
직접적으로 실천하기 때문에 배우는 것이 확실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요즘은 수업료나 강의비가 비싼 곳이 많기 때문에 쉽게 신청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런 걱정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 내일배움카드
제도인데요. 무엇을 배우고 싶다는 열정이 있으신 분이라면 내일배움카드
제도를 통해서 필요한 교육을 무료로 받을 수가 있습니다.
내일배움카드는 2가지 종류로 나눠서 운영이 되고 있는데요.
첫 번째는 현재 직장을 다니지 않고 있는 무직자를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는 현재 직장을 다니는 재직자 내일배움카드로 나눠서 신청이 가능한데요.
현재 본인의 상황에 맞춰서 2가지 분류중에 하나를 신청하시면 됩니다.
신청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은 우선 고용노동부 hrd
홈페이지에 로그인을 하신다음 공인인증서를 등록하셔야 합니다.
처음 로그인하실 때에 공인인증서로 진행하시면 편리합니다.
이후 행정서비스 페이지에서 근로자카드를 신청하시면 됩니다.
저의 경우는 따로 공인인증서를 등록하지 않아 실명인증 이후 공인인증서를
등록하였습니다. 한 번 등록해놓으시면 만료전까지 계속 유지됩니다.
공인인증서 등록의 경우 로그인 - My 서비스(개인) - 공인인증서 등록/변경에서
가능합니다. 저의 경우 개인으로 인증서를 등록하였습니다.
공인인증서 로그인 이후 행정서비스에서 내일배움카드를 신청하였습니다.
본인 소속 고용센터에 신청서를 제출하시면 접수와 동시에 서류확인을 거쳐
카드를 발급하고 있습니다. 처리과정에 따라서 카드 수령날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발급까지 대략 1주에서 2주정도 걸린다고 보시면 됩니다.
근로자배움카드의 경우 회사 성격에 따라서 자기 본인 부담금이 달라집니다.
대기업의 경우에는 20%의 자부담비가 발생하며 중소기업이나 우선지원기업의 경우
자기부담금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또한 근로자 카드는 본인이 꼭 소지하여야 합니다.
지원금은 1년에 200만원까지 가능하며 5년간을 기준으로 했을 때 300만원입니다.
수료의 경우에는 80% 이상 출석을 해야만 수료로 처리가 되며
40시간 미만의 직업훈련 과정이라면 소정훈련시간으로 출석률을 계산합니다.
이렇게 내일배움카드 신청자격과 절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019년도를 맞이하면서 본인이 배우고 싶었던 분야의 교육을 들어보면
어떨까요? 자기계발도 하고 취미도 만드는 시간을 가지셨으면 좋겠습니다.
'm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공연비 소득공제 2019 (0) | 2018.12.31 |
---|---|
물류신문 서비스 정리 (0) | 2018.12.19 |
인감증명서 발급 총정리 (0) | 2018.12.17 |
hrd.go.kr 서비스 이용하기 (0) | 2018.12.11 |
우체국 알뜰폰 요금제 주요특징 (0) | 2018.11.28 |
유모비 다이렉트몰 할인혜택 정리 (0) | 2018.11.27 |
헬로모바일 다이렉트 요금제 정리 (0) | 2018.11.26 |
아그리즈 중고농기계 구매 이용방법 (0) | 2018.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