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국민신문고 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일상 생활에서 불편했던 일이나 이 점이 고쳐졌으면 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는데요. 이전에는 이러한 생각을 행동으로 옮기기가 힘이

들었지만 요즘은 국민들의 생각을 반영하려는 움직임이 많이 보입니다.



국민신문고는 국민들의 생각을 전달하는 데 있어 유용한 곳입니다.

국민권익위원회에서 관리하며 국민들의 의견이 실제로 반영되는 케이스가

많다고 합니다. 그러면 국민신문고 홈페이지에서 진행하고 있는 서비스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가장 기본적인 민원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간혹 민원에 의미를 잘못 아시는 분들이

있는데 민원이란 기본적으로 국민이 행정기관에 대해 특정 요구를 의미합니다.



즉, 국민들의 다양한 의사를 표시하는 개념으로 가장 간단하면서도

가까이에 있는 표현 수단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로 서류 발급이나 특정 서식을 제출할 필요가 있는 것이 아니라

개선에 대한 건의나 질문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민원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담당부서가 처리하고 있으며 만약 특정기관에서

처리를 원하지 않는 경우 따로 설정해서 처리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현재 기준으로 민원 처리기간은 접수일로부터 1주~2주 사이에 처리되고 있습니다.



위의 표는 민원 유형에 따라서 처리되는 기간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토요일이나 공휴일은 처리기간에서 제외가 되며 기관 규정에 따라서 

조금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기관에서도 기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제안제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안 제도는 

본인의 생각이나 의견을 제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면 여기서 

제안 제도와 민원 제도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해할 수 있습니다.



제안 제도는 민원과 비교해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또한 제안을 제시했을 때, 우수제안으로 뽑히는 경우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문제에 대해 해결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 제안제도입니다.



우수 제안 심사 기준은 실시가능성, 창의성, 효율성, 적용범위 등이라고 합니다.

배점 기준은 기관에 따라서 조금 상이할 수 있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여의식도 높일 수 있으면서 보상까지 있다고 하니 좋은 방향인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정책참여 서비스입니다. 정책참여는 정책토론, 전자공청회, 설문조사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특정 정책의 홍보나 결정에 있어서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입니다. 정책 수립, 진행, 평가 과정에서 본인의 의견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서 피드백을 국민이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상으로 국민신문고의 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