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생활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세금에 대해서 주위에서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오늘은 갑근세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갑근세란 갑종근로소득세의 줄임말로

기본적으로 근로소득은 갑종 근로소득과 을종 근로소득으로 분류가 됩니다.

한 마디로 원천 징수의 방법으로 국가에서 거둬들이는 근로소득세를 의미합니다.



급여명세서를 보시면 갑근세라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처음에 명세서를 봤을 때

처음 보는 단어에 당황을 한 적이 있습니다. 어떻게 이 금액이 나왔고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갑근세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자동계산기 서비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어느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 한 단계씩 알아가보도록 하겠습니다.



갑근세 자동계산기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해서 홈택스 홈페이지에 들어가시면

됩니다. 이 곳에서 조회 및 발급을 누르시면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는데요.

저는 인터넷 익스플로어로 이용을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조회/발급에 들어가시면 기타 조회에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라는 곳이 있습니다.

이 곳에서 근로소득에 대한 간이세액표 자동 조회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8년 2월에 개정이 된 간이세액표가 현재 기준으로 최신이며 업데이트될 수 있습니다.



이용 전에 알아두셔야 할 내용은 월 급여액에 써야하는 금액은 비과세 소득을

제외한 금액을 적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기본 공제 대상자는 본인을 포함한

해당 수를 기입하면 되며 20세 이하 자녀수의 경우 연간 소득금액이 



100만원을 초과하면 안됩니다. 만약 20세 이하의 자녀이지만 소득금액이

100만원을 넘는다면 공제대상 가족 중에서 제외가 되기 때문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월 급여액에 특정 금액을 넣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시는거와 같이 월 급여액에 따라서 금액이 달라지며 근로소득간이세액표에 따른

세액의 80프로, 100프로, 120프로 중에서 선택이 가능합니다. 원천징수방식을

변경한 이후에는 따로 재변경하기 전까지 계속 적용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계산된 세금은 회사에서 표기되는 세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월급 이외에 다른 소득이 없는 경우 연말정산으로 납세의무가 끝나며, 

다른 소득이 발생하는 경우 타 소득과 합산해서 확정신고를 마치셔야 합니다.

지금까지 갑근세 계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